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사우디] 사우디 경제 및 에너지 동향('25.07.05.-11.)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7-24
조회수
82

(정보제공: 주사우디대사관)



사우디 경제 및 에너지 동향('25.07.05.-11.)


   

1. 일반경제, 금융 및 투자  


o Prince Turki bin Salman 왕실 인사가 운영하는 Tharawat Holing Co.가 사우디 내 새로운 메가 딜에 대한 외국기업들의 접근성을 장악해 나가고 있음.

   

- 동 기업은 적어도 약 2,500억불 규모에 달하는 다양한 자산들을 감독하면서, 인프라, 광업, 방산, 텔레콤 등의 부문에 대한 해외직접투자금의 흐름을 조정함.

   

- 따라서 동 기업은 사우디와의 비즈니스 딜을 원하는 외국 기업들에게 일종의 수문장(gatekeeper)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현재 운용자산규모 1조불의 PIF에게 매우 중요한(crucial) 보조적 파워(complementary force)으로서 고려됨.

   

o 사우디의 최대 몰 운영사인 Cenomi Centers는 내년도 채권(sukuk) 상환을 앞두고 가능한 펀딩(부채 및 에쿼티) 옵션에 대한 자문을 위해 Rothschild & Co. 투자은행을 고용함.

   

- Cenomi Centers의 이러한 움직임은 지난 달 S&P 국제신용평가사가 Cenomi Centers의 내년 10월 8.75억불 규모의 채권의 리파이낸싱에 대한 리스크 가능성을 언급하며 등급을 非투자 등급으로 추가 하향 조정한 이후 이루어진 것임.

   

o PIF는 Related Cos.의 센트럴파크 주변 NYC 부동산(맨하탄 미드타운에 위치한 타워 싸이트)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짐.

o 사우디 최대 연례 투자행사인 FII(미래투자이니셔티브) 컨퍼런스 운영사인 Richard Attias & Associates(RA&A)가 이르면 내년도에 IPO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짐.

   

   - 현재 PIF 산하 투자 기관인 Sanabil이 RA&A의 지분 75%를 소유하고 있음.

   

o 사우디 석유화학기업인 Sabic은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하기 위한 구조조정의 일환으로써, Sabic이 74%의 지분을 보유한 산업가스부문인 National Industrial Gases의 IPO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짐.

   

  - Sabic은 화학업계의 부진이 매출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지난 2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올해 들어 주가가 약 16% 하락한바, 올해 3분기에 구조조정의 상세사항을 발표하고 올해 구조조정을 완료한 계획임.

   

o 사우디 배달 플랫폼인 Jahez는 카타르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Snoonu의 과반이 넘는 지분(75%)을 매입하기로 결정함.

   

  - 동 딜은 Jahez의 지역 내 입지를 강화하고 카타르로 사업 확장을 추구하는 Jahez의 계획과 관련이 있음. 또한, 이 딜은 보다 원만해지고 있는 사우디-카타르간 비즈니스 관계를 보여줌.

   

o 외국인의 사우디 부동산 소유권(ownership) 관련 법 규정이 정비될 전망인 가운데, 부동산 기업 관련 주식이 크게 상승함.

   

- 사우디 정부가 리야드 및 젯다(메디나 및 메카는 여전히 제외) 등에 외국인이 부동산을 소유할 수 있는 특정 지역(designated zones, specified areas)을 구성하는 새로운 관련 법을 승인한 이후, 사우디 부동산 기업들의 주가가 크게 상승함.


2. 에너지


o (OPEC+ 7월 회의결과) OPEC+은 8월 생산량 결정 관련 최근 회의(7.5)에서 시장의 예상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증산(일 548,000배럴)을 결정했으며, 9월에도 생산량을 더 늘릴 것을 시사함.

   

- 이러한 결정은 안정적인 세계경제전망과 현 시장의 펀더멘털을 고려, 시장이 OPEC+의 공급량 증가를 시장을 흡수할 것으로 믿는 OPEC+의 리더쉽(특히 사우디)의 자신감을 반영함.

   

- 동 대규모 증산 결정에도 불구하고 유가는 상대적으로 안정을 유지하며 Brent의 경우 $68 이상 선에서 거래된바, 이는 시장이 OPEC+의 추가 공급을 충분히 흡수할 것으로 고려한다는 것을 보여줌.

   

- 그러나 OPEC+은 일 220만 배럴의 공급역량 회복을 완전히 달성하게 되는 10월 부터 추가 생산을 일시적으로 멈추는 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짐.

   

o (사우디 6월 초과생산 논란) IEA는 지난 6월 사우디가 매우 이례적으로 약 일 700,000배럴을 초과 생산해, 생산량이 일 980만배럴까지 급증했으며, 동 초과 생산량의 70%는 수출되었다고 보고함.

   

- 그러나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은 사우디가 OPEC의 6월 쿼터를 초과하지 않고 완전히 준수(complied)했다고 주장함.

   

o (사우디 6월 생산량 측정) 사우디가 6월 생산량 측정 관련 기관들(OPEC watchers)에게 기존의 스탠다드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을 이용해 보다 낮은 수치를 제출(data change)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알려짐.

   

  - 사우디가 새롭게 요구한 방식으로 측정할 경우 약 일 400,000배럴 생산이 줄어들게 되어, 사우디가 생산 쿼터를 초과하지 않게 됨.    


4. 유가 동향

   

o (러시에 석유제재 가능성) 이번 주 유가는 거래마감일(7.11일) 기준 美 트럼프 행정부가 러시아 원유에 대한 제재를 계획하고 있다는 추측이 확대되며 소폭 상승(Brent $70.36, WTI $68.45)으로 마감함.

   

- Commerzbank AG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美가 이르면 다음 주 초에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재를 결정할 수 있다고 분석됨.

   

o (이란 석유제재 동향) 美가 이란의 원유 수출을 제한하려는 새로운 제재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번 주 美 원유재고량은 대규모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美의 對이란 새로운 제재는 시장이 실제적인 공급의 감소(a material loss of barrels)를 경험할 때까지는 유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고려됨. (Rabobank 국제에너지전략부 분석)

   

o (시장의 수급 현황) 단기적으로는 현 시장의 펀더멘털은 강건한 상태이며 타이트한 공급이 원유 수요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임. (CIBC Private Wealth Group 분석)

   

- 시장의 실제 펀더멘털(the fundamental reality)을 들여다보면, 세계석유 재고량은 낮은 수준이고, OPEC+의 증산에도 불구하고 여름 시즌 동안에는 수급 밸런스가 타이트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함. (Societe Geenrale SA 분석)

   

o (사우디 생산?수출 동향) IEA는 최근 보고서에서 사우디가 6월 이스라엘-이란 전쟁으로 페르시아만 지역에 지정학적 긴장이 매우 고조되었을 때, 매우 이례적으로 일시나마 쿼터 이상의 초과 생산(overproduction)을 시행하며, 당시 석유수출을 가속화한 다른 산유국들의 행보에 동참했다고 지적함.

   

  - 그러나 사우디의 6월 쿼터 초과생산((overproduction) 행적보다 현재 더 중요한 것은 8월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우디의 대 중국 수출 전망임. (CIBC Private Wealth Group 분석)

   

o (수요 우려 전망) 트레이더사들은 OPEC+의 하반기 증산 중단 가능성을 에너지 수요로 인한 초과공급 상황에 대한 경고로 해석하고 있음. (Saxo Bank A/S 분석)

   

  - IEA에 따르면, 올해 세계석유수요는 단 700,000배럴/일 성장할 것인바, 이는 2020년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면 지난 16년간 가장 느린 성장속도임.

   

  o 또한 시장 트레이더사들은 관세 협상이 재개됨에 따라 올해 4분기 상황 및 이후 2026년도의 초과공급 상황에 대해 벌써 우려하기 시작하고 있음. (Marekt Intelligence 분석).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